Stock Transfer Using Stock Transport Order
General Information on Stock Transfer
Purpose
Plant간에 자재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몇 가지 방법이 있다.
n Plant간의 Stock Transfer(One Step)
n Plant간의 Stock Transfer(Two Step)
n Stock Transport Order Without SD Delivery
n Stock Transport Order With SD Delivery
n SD Delivery와 Billing 모두가 수반되는 Stock Transport Order
Advantages of Stock Transport Order
Stock transport order를 이용하여 자재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이를 이용하지 않고 자재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다.
n Receiving plant에서 GR이 plan될 수 있다.
n Stock Transport Order상에 transport vendor의 입력이 가능하다.
n Delivery cost의 입력이 가능하다.
n MRP에서 생성된 purchase requisition이 stock transport order로 convert될 수 있다.
n SD delivery를 이용하여 자재출고가 입력될 수 있다.
n Goods receipts을 바로 consumption posting하는 것이 가능하다.
n 전체 process가 purchase order history로 monitoring될 수 있다.
Characteristic of the Various Stock Transfer Procedures
아래의 table은 stock transfer와 관련된 각 procedure들의 특성을 소개하고 있다.
1 Step | 2 Steps | St. trsnp. ord. w/o SD |
St. trsnp. ord. with SD |
St. trsnp. Ord. with Billing | |
구매오더 유형 | UB | UB | NB | ||
Movement Type | 301 | GI: 303 GR: 305 |
GI: 351 GR: 101 |
GI: 641 GR: 101 |
GI: 643 GR: 101 |
Delivery type | NL | NLCC | |||
Billing type | IV | ||||
Doc type MM-IV | RE | ||||
Price | Val. Price | Val. Price | Val. Price | Val. Price | Pricing in SD and MM |
Stock after GI | Stock in transfer | Stock in transit | Stock in transit | Stock in transit CC | |
Delivery costs | Yes | Yes | Yes | ||
Cross-company code via… | CC clearing | CC clearing | CC clearing | CC clearing | Revenue GR/IR clearing |
Process Flow
Goods issue in MM or SD?
Stock transport order에 대한 출고는 MM 혹은 SD에서 모두 가능하다. SD에서 출고를 하면 replenishment delivery가 생성된다.
SD에서 출고를 하기 위한 전제조건은 아래와 같다.
n 구매관련 customizing에서 purchasing document type에 delivery type이 assign되어야 한다 (Materials Management > Purchasing> Set up stock transport order, Assign delivery type/checking에서 ‘NL’을 assign). 만약 delivery type이 assign되지 않으면 MM에서 자재를 출고하여야 한다.
n 구매관련 customizing에서 receiving plant의 customer number가 maintain되어야 한다(Materials Management > Purchasing> Set up stock transport order, Plant에서 customer number를 지정).
n SD의 configuration에서 shipping point 결정이 maintain되어야 한다 (Sales and Distribution > Shipping> Basic Shipping Functions> Shipping Point Determination> Assign shipping points, 이 경우 shipping point의 결정은 shipping condition과 loading group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데, shipping condition은 configuration 상에서 SD document type에 의해 결정되거나 customer master에 입력된다. Loading group은 material master에 입력된다.)
n 자재 master에 shipping data가 maintain되어야 한다 ( Sales: General/Plant Data).
만약 purchasing document type에 delivery type이 assign되어 있다 하더라도 다른 조건이 충족되지 못하는 경우에는(예, shipping data), system configuration 여부에 따라 경고 혹은 에러 메시지가 나타난다. 경고 메시지를 받는 경우에 stock transport order를 생성할 수 는 있으나 MM에서 item을 출고 시켜야 한다.
Stock Transfer Using the Stock Determination Function
만약 stock transfer을 위한 자재를 여러 storage location에서 그리고 특정 방침에 따라 출고 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SAP가 지원하는 Stock Determination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Stock Transfer between Plants in One Step
동 유형의 stock transfer는 IM(MM)에서만 수행될 수 있다. 출고 plant에서의 shipping이나 receiving plant에서의 구매행위는 process에 개입되지 않는다. 자재를 one step으로 plant간에 transfer시키는 것은 아래와 같은 특징들을 갖고 있다.
n Stock transfer는 MM의 transfer posting으로 입력된다.
n Transfer posting은 reservation을 생성함으로 인해 planning될 수 있다.
n Transfer되는 자재수량은 출고 plant의 가용재고에서 입고 plant의 가용재고로 바로 기표된다.
n 대체기표는 출고 plant의 valuation price로 기표된다.
n 만약 두 plant가 각각의 상이한 company code에 귀속된다면 이는 plant간의 transfer이자 company code간의 transfer가 된다. 이 경우에는 company code clearing 계정이 개입되는 두개의 회계문서가 생성된다.
Stock Transfer Between Plants in Two Steps
동 유형의 stock transfer도 IM(MM)에서만 수행될 수 있다. 출고 plant에서의 shipping이나 receiving plant에서의 구매행위는 process에 개입되지 않는다.
동 유형의 stock transfer는 아래와 같은 process들을 수반한다.
1. 출고 plant에서의 자재 출고행위
2. 입고 plant에서의 자재 입고행위
자재를 two step으로 plant간에 transfer시키는 것은 아래와 같은 특징들을 갖고 있다.
n Transfer posting이 planning될 수 없다.
n Transfer된 자재는 우선 입고 plant의 “stock in transfer로 관리된다”. GR행위가 일어난 후에 비로소 입고 plant의 가용재고 수량이 update된다. 이러한 process는 “on the road” 수량의 관리를 가능하게 해 준다.
n 대체기표는 출고 plant의 valuation price로 기표된다.
n 만약 두 plant가 각각의 상이한 company code에 귀속된다면 이는 plant간의 transfer이자 company code간의 transfer가 된다. 이 경우에는 company code clearing 계정이 개입되는 두개의 회계문서가 생성된다.
Stock Transport Order Without SD Delivery
이러한 유형의 stock transfer는 MM내의 Inventory Management뿐만 아니라 입고 plant의 Purchasing까지 개입이 된다. IM에서의 출고기표는 SD의 개입 없이 수행이 된다.
SD delivery없는 stock transfer는 아래와 같은 process들을 수반한다.
1. 입고 plant에서의 stock transport order 생성
Plant A가 plant B로부터 자재를 구매하기를 원한다고 가정하자. Plant A가 stock transport order를 생성하며 이는 goods movement의 planning을 가능케 해준다.
2. 출고 plant의 posting goods issue
Plant B는 자재를 출고 시킨다. Plant B는 stock transport order에 대하여 goods issue를 입력하며 동 자재는 입고 plant의 stock in transit으로 posting된다.
3. 입고 plant에서의 GR posting
입고 plant에 자재가 도착하면 동 plant는 GR을 posting한다. 동 행위는 stock in transit을 감소시키고 가용재고를 증가 시킨다. GR은 stock transport order를 reference하여 입력된다.
Stock transport order는 아래와 같은 특징들을 갖고 있다.
n Posting 된 자재는 우선 입고 plant의 “stock in transit으로 관리된다”. GR행위가 일어난 후에 비로소 입고 plant의 가용재고 수량이 update된다. 이러한 process는 “on the road” 수량의 관리를 가능하게 해 준다.
n Stock transport order에는 delivery cost가 입력될 수 있다.
n 대체기표는 출고 plant의 valuation price로 기표된다.
n 만약 두 plant가 각각의 상이한 company code에 귀속된다면 이는 plant간의 transfer이자 company code간의 transfer가 된다. 이 경우에는 company code clearing 계정이 개입되는 두개의 회계문서가 생성된다.
Stock Transport Order With SD Delivery
이러한 유형의 stock transfer에는 아래의 application들이 개입된다.
n Order 입력시의 Purchasing
n 출고 plant에서의 delivery를 할 때 Shipping (SD)
n 입고 plant에서 입고를 할 때 Inventory Management
SD delivery가 있는 stock transfer는 아래와 같은 단계를 거친다.
1. 입고 plant에서의 stock transport order 생성
Plant A가 plant B로부터 자재를 구매하기를 원한다고 가정하자. Plant A가 stock transport order를 생성하며 이는 goods movement의 planning을 가능케 해준다.
2. 출고 plant의 posting goods issue
Plant B는 자재를 출고 시킨다. Plant B는 SD에서 replenish delivery를 입력한다. 출고된 자재는 입고 plant의 stock in transit으로 posting된다.
3. 입고 plant에서의 GR posting
입고 plant에 자재가 도착하면 동 plant는 delivery에 대해 GR을 posting한다. 동 행위는 stock in transit을 감소시키고 가용재고를 증가 시킨다.
Stock transport order는 아래와 같은 특징들을 갖고 있다.
n Posting 된 자재는 우선 입고 plant의 “stock in transit으로 관리된다”. GR행위가 일어난 후에 비로소 입고 plant의 가용재고 수량이 update된다. 이러한 process는 “on the road” 수량의 관리를 가능하게 해 준다.
n Stock transport order에는 delivery cost가 입력될 수 있다.
n 대체기표는 출고 plant의 valuation price로 기표된다.
n 만약 두 plant가 각각의 상이한 company code에 귀속된다면 이는 plant간의 transfer이자 company code간의 transfer가 된다. 이 경우에는 company code clearing 계정이 개입되는 두개의 회계문서가 생성된다.
Stock Transfer Order that Includes SD Delivery and Billing Document/Invoice
이러한 유형의 stock transfer에서는, transfer posting이 출고 plant 자재의 valuation price로 일어나지 않고 출고 및 입고 plant의 condition에 의해 결정된 금액으로 발생된다.
☞ SD delivery와 billing document/invoice가 개입되는 stock transfer는 두 plant가 각각 상이한 company code에 귀속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동 유형의 stock transfer에는 아래와 같은 application들이 개입된다.
n Order 입력시의 Purchasing
n 출고 plant에서의 delivery시 Shipping(SD)
n Delivery에 대한 billing document생성시의 billing(SD)입고
n 입고 plant에서 GR시에 Inventory Management
n 입고 plant에서 송장 수령시의 Invoice Verification
SD delivery와 billing document가 있는 stock transfer는 아래와 같은 단계를 거친다.
1. 입고 plant에서의 stock transport order 생성
여기서 자재의 가격이 결정된다.
2. 출고 plant의 posting goods issue
출고 plant는 SD에서 replenish delivery를 입력한다: billing document가 없는 stock transfer와는 달리 stock in transit이 생성되지 않는다.
3. 출고 plant에서의 billing document 생성. SD 또한 delivery 건에 대한 price를 결정한다.
4. 입고 plant에서의 GR posting
입고 plant에서는 delivery에 대한 GR을 posting한다. 자재는 가용재고로 기표된다.
5. 입고 plant에서 billing document를 reference하여 invoice를 입력한다.
Stock transport order는 아래와 같은 특징들을 갖고 있다.
n 출고 plant에서 posting 된 자재 수량은 출고 plant, 입고 plant 어느 곳에서도 관리되지 않는다. 입고 plant에서의 GR행위가 일어나게 되면 동 plant의 가용재고 수량에 반영이 된다. Goods issue가 posting되고 나면, transfer된 수량은 stock overview(Logistics> Material Management> Inventory Management> Environment> Stock> Stock in transit CC)에서 Stock in transit CC로 display가 가능하다.
n 동 유형의 대체기표에서는 가격결정이 Purchasing과 SD에서 이루어진다.
¨ Purchasing에서는 자재의 가격결정이 일반적인 방법(예, info record)으로 이루어진다.
¨ SD에서도 가격결정이 정상적인 Billing시의 pricing으로 이루어진다.
n Goods movement시의 금액결정은 위의 각각의 사례에서 결정된 price에 기초한다.
n 회계문서는 아래의 거래들에 대해서 발생이 된다.
¨ 출고
¨ 입고
¨ Billing
¨ Invoice verification
Stock Transfer in Purchasing
Purchasing에서 아래의 기능으로 stock transfer를 요청하고 monitoring할 수 있다.
n Stock transport order
n Purchase requisition
n Scheduling agreement
☞ Stock transfer에 두개의 company code가 개입이 되고 billing이 이루어 진다면, stock transport order가 아니라 정상적인 구매 오더가 생성될 것이다.
Creating a stock transport order
Stock transport order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절차를 따른다.
1. Purchasing menu에서 Purchase order -> Create -> Stock transfer를 선택한다. 동 기능에 대한 initial screen이 나타난다.
2. Initial screen을 fill out한다. Supplying plant 필드에는 자재를 출고할 plant를 입력한다. Standard system에서는 오더유형이 UB로 정의되어 있으며, item category는 U가 되어야 한다.
3. Item overview 화면에서 개별 item들을 입력한다. Plant field에는 각 item의 입고 plant를 입력한다. 만약 자재들이 창고로 입고되지 않고 바로 소비될 목적이라면 item들에 대해 account assignment가 입력될 수 있다.
4. Stock transport order를 저장한다.
Stock transport order는 입고 및 출고 plant 모두에서 Material Planning상에 반영될 수 있다.
Creating a Purchase Requisition for a Stock Transfer
Purchase requisition상에서 sock transfer를 요청할 수 있다.
1. Purchasing menu에서 Requisition -> Create를 선택한다.
2. Initial screen을 fill out한다. ENTER를 선택하면 item overview 화면이 나타난다.
3. Item overview 화면에서 개별 item을 입력한다. Transfer될 개별item들에 대해 아래의 내용을 입력한다.
- Item category field에 U를 입력
- Supplying plant field에는 출고 plant
- Plant field에는 입고 plant
4. Purchase requisition을 저장한다.
“Create purchase order via purchase requisition”기능을 선택하면, stock transport requisition으로부터 stock transport order가 생성된다.
Creating a Stock Transport Scheduling Agreement
Stock transport scheduling agreement를 생성할 때, stock transfer에 대한 정확한 delivery date의 입력이 가능하다.
1. Purchasing menu에서 Outline agreement -> Scheduling agreement -> Create trnsptschagm을 선택한다.
2. Initial screen을 fill out한다. Supplying plant field에는 출고 plant를 입력한다. Standard system에서는 agreement type LU가 정의되어 있고 item category는 U가 되어야 한다.
ENTER를 선택하면 header data의 상세 화면이 나타난다
3. Validity period를 입력하고 필요하며 다른 입력 사항들도 check한다.
4. Item overview 화면에서 개별 item들을 입력한다. Plant field에는 입고 plant 를 입력한다.
5. Scheduling agreement를 저장한다.
6. Outline agreement -> Scheduling agreement -> Follow-on functions -> Delivery schedule 기능을 이용하여 Scheduling agreement에 대한 delivery schedule을 입력한다.
Goods Issue for a Stock Transport Order
System configuration 여부에 따라 stock transport order에 대한 goods issue를 MM이나 SD 에서 처리할 수 있다.
만약 stock transfer에 두개의 company code가 개입되고 billing document가 생성된다, goods issue는 항상 SD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osting Goods Issue in Inventory Management
만약 Inventory Management에서 goods issue를 시키게 되면 자재의 입고도 stock transport order에 대하여 이루어진다.
출고 plant에서 goods issue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처리한다.
1. Inventory Management 메뉴에서, Goods movement -> Transfer posting을 선택한다.
2. 초기화면에서 data를 입력한다.
- Header data를 체크한다(document date, posting date 등).
- 출고 plant 및storage location을 개별 item들에 대한 default value로서 입력한다.
3. Transfer posting -> Plant to plant -> To stock in transit으로 출고 유형을 선택한다(movement type 351). 대상이 되는 stock transport order를 물어보는 dialog box가 나타난다.
4. 다음 화면에서는 item 선택화면이 나타나는 데, 처리하고자 하는 item을 선택하여
copy한다.
5. Goods issue를 저장한다.
Results of a Goods Issue
Goods issue posting의 결과로 아래와 같은 사항들이 반영된다.
n Documents
¨ 자재출고에 따른 material document의 생성
¨ 만약 plant들이 서로 다른 valuation area에 속한다면, material document이외에 accounting document도 생성이 된다.
n Stock change
¨ 출고 plant에서 수량이 감소된다
¨ 입고 plant에서는 수량이 증가한다(가용재고가 아닌 plant level의 stock in transit으로). 입고 storage location은 지정되지 않은 상태이다.
n Purchase order history
출고를 기표하면,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order history record를 생성한다.
Posting Goods Issue in Shipping
만약 SD shipping의 replenish delivery를 통해 goods issue를 처리하면, 입고 시에 replenish delivery나 stock transport order를 reference하여 처리를 할 수 있다.
Stock transfer에 대해 replenish delivery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처리한다.
1. Shipping 메뉴에서 Delivery -> Create coll. processing을 선택하면 초기화면이 나타난다.
2. 초기화면을 fill out한다. Documents to be selected에 stock transport를 선택한다.일자를 주어 추출대상을 제한할 수 있다.
3. Delivery -> Display delivery due list를 선택한다. List가 display되며 처리될 delivery건을 선택할 수 있다.
4. Delivery -> Save를 선택한다. 선택된 order에 대해 replenish delivery가 생성되며 생성된 delivery의 log가 display될 수 있다.
5. Delivery -> Change 기능을 선택하여 picking과 post goods issue를 입력할 수 있다.
Goods issue posting됨으로 인해 출고 plant에서의 process가 끝나게 된다.
Results of the delivery
Replenish delivery는 Inventory Management에서의 goods issue와 동일한 결과를 가진다.
n Documents
¨ 자재출고에 따른 material document의 생성
¨ 만약 plant들이 서로 다른 valuation area에 속한다면, material document이외에 accounting document도 생성이 된다.
n Stock change
¨ 출고 plant에서 수량이 감소된다
¨ 입고 plant에서는 수량이 증가한다(가용재고가 아닌 plant level의 stock in transit으로). 입고 storage location은 지정되지 않은 상태이다.
추가적으로 아래의 data들이 update된다.
n Purchase order history
Replenish delivery와 이에 따른 goods issue에 대해 system이 자동적으로 purchase history record를 생성한다.
n Document flow
Delivery에 대한 document flow상에서 goods issue posting에 따른 transit stock으로의
stock transfer가 documented된다.
Displaying Stock in Transit
Stock in transit은 출고 plant의 재고로부터 출고되고 입고 plant에 아직 도착되지 않은 자재의 수량이다. 아래의 기능을 활용하여 stock in transit.
n Stock overview
n Plant stock availability list
Displaying Transit Stock in the Stock Overview
자재의 stock overview상에서 stock in transit을 display할 수 있다.
1. Inventory management 메뉴에서 Environment -> Stock -> Stock Overview를 선택한다.
2. 선택기준을 입력한다. (예, material과 receiving plant)
3. 실행을 하면 선택한 plant의 stock overview가 display된다.
4. Plant를 double-click하면 pop-up window 안에 plant의 stock 현황이 나타난다.
Stock in transit이 나타날 때까지 scroll down한다.
Displaying Transit Stock in Plant Stock Availability List
Receiving plant의 transit stock은 자재에 대한 plant stock availability list에서도 조회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처리한다.
1. Inventory management 메뉴에서 Environment -> Stock -> Plant stock availability를 선택한다.
2. Material과 receiving plant를 입력한다.
3. Scope of list를 선택한다.(예, DD)
4. 실행을 하면 자재에 대한 plant stock availability list가 display된다.
☞ 동 list에는 stock in transit도 나타난다. SD billing document가 개입되는 company code간의 transport order의 경우에는 stock in transit이 생성되지는 않지만 잔고를 보여주기 위해 실행 시에 계산되어 Stock in trans. CC 필드에 나타내 준다.
Posting Goods Receipts for a Stock Transport Order
만약 Inventory Management에서 goods issue를 기표했다면, 입고 plant에서는 stock transport order를 참조하여 GR을 기표할 수 있다.
만약 SD shipping에서 goods issue를 기표했다면, 입고 plant에서 stock transport order혹은 SD delivery를 참조하여 GR을 기표할 수 있다.
Posting a Goods Receipt for a Stock Transport Order
1. Stock transport order에 대한 GR은 일반 구매 order에 대한 GR과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는 자재가 이미 valuated 되었으므로 blocked stock으로의 입고는 불가능하다.
2. Inventory Management에서 Goods movement -> Goods Receipt -> For purchase order -> PO number known를 선택한다.
3. Stock transport order의 번호를 입력한다.
4. Movement type -> PO to warehouse로 movement type을 선택한다.
5. Continue를 선택하면 item overview 화면이 나타난다.
6. GR이 될 item을 선택하고 수량을 입력한다.
☞ System이 default로 보여주는 수량은 발주수량이 아니라 stock in transit 수량이다.
7. 선택된 item을 copy(adopt)한다.
8. GR을 기표한다.
Posting Goods Receipt for Replenishment Order
1. Inventory Management에서 Goods movement -> Goods Receipt -> For purchase order -> PO number unknown을 선택한다.
2. Delivery field에 replenish delivery 번호를 입력한다.
3. Continue를 선택하면 item overview 화면이 나타난다.
4. 입고시킬 item을 선택한다.
5. GR을 posting한다.
Results of the Goods Receipt
Storage location으로 입고를 시킴으로써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다.
Documents
자재이동에 대한 material document를 생성한다.(동일 plant내의 transfer posting이므로 회계문서는 생성되지 않는다.)
Change in stock in the receiving plant
Transit stock으로부터 입고 storage location의 가용재고로 수량이 이전된다.
Purchase order history
GR posting이 일어나면 purchase order history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Document flow
Delivery에 대한 GR이 일어나면 material document에 기초하여 SD document flow상에 입고 plant의 GR이 반영된다.
출처:
1999년 9월 어느 휴일 날, 한남동 Volvo 빌딩에서
구국 컨설턴트 회계사 동방불패
'SAP MM > Inventory Manage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동유형 (Movement type) (0) | 2024.11.18 |
---|---|
Steps for opening and closing Period – MM FI CO (0) | 2022.05.24 |
[자료] MR21/MR22 사유에 따른 OBYC UMB 이원화 구성 (0) | 2022.03.16 |
이동유형 (MM movement types) (0) | 2022.03.16 |
[자료] Auto Posting Configuration by TE key (1) | 2022.03.16 |
댓글